◈ 보청기란? |
|||
|
|||
|
1. 보청기(Hearing Aid)란? |
|||||||||||||||||||||||||||||
보청기는 소리의 성분을 주파수로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증폭시켜 주는 전기음향장치로서 난청인이 청력손실로 듣지 못하는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청각보조장치입니다. 보청기는 전음성난청의 경우 가장 효과적이며, 감각신경성 난청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보청기 외에 인공중이 이식수술, 내이의 달팽이관(인공와우) 이식수술이 있으며 청신경에 이상이 있는 경우 바로 뇌간을 자극해 주는 뇌간이식수술 등이 있습니다.
|
|||||||||||||||||||||||||||||
2. 보청기의 구성요소 |
|||||||||||||||||||||||||||||
① 마이크 (Microphone) ② 증폭기 (Amplifier) ③ 스피커 (Receiver) ④ 밧데리 (Battery)
|
|
||||||||||||||||||||||||||||
3. 보청기의 형태 |
|||||||||||||||||||||||||||||
① 보청기 제품 선택시 고려사항
② 보청기 형태 선택시 고려사항
③ 보청기 형태
※ 청력상태가 좋을수록 위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4. 보청기의 구조 |
|||||||||||||||||||||||||||||
|
|||||||||||||||||||||||||||||
5. 신호처리방식에 따른 보청기의 분류 |
|||||||||||||||||||||||||||||
Analog 보청기 Programmable 보청기 Digital 보청기
|
|||||||||||||||||||||||||||||
6. 디지털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란 무엇인가? |
|||||||||||||||||||||||||||||
빛, 소리, 영상 등은 연속신호로 나타낼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 입니다. 그러나 아날로그신호는 외부노이즈, 처리속도, 대역폭 제한 등 아날로그 회로를 이용해 신호처리를 하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기술입니다. DSP와 범용CPU와의 근본적인 차이는 DSP는 실시간에서 변화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타로 변환하여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범용 CPU도 이같은 신호처리를 할 수는 있지만 CPU자체에 상당한 부하가 걸리게 됩니다. DSP를 보통의 CPU와 함께 사용하는 시스템의 장점은 CPU 에는 대단히 큰 부담이 될 만한 신호처리 연산을 CPU작업의 수행과 별도로 DSP를 통해서 동시에 처리해 줄 수 있습니다. 디지털신호처리가 아날로그신호처리에 비해 정확하면서도 신호의 왜곡이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수식을 쉽게 프로그램화 할 수 있고, 새롭고 더 복잡한 신호처리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기존 아날로그 회로로는 구현이 쉽지 않은 복잡한 필터를 일련의 수식으로 쉽게 구현할 수도 있으며 특정데이터 삭제나 추가 등의 신호조작도 가능하게 됩니다. DSP를 사용하는 이점은 무엇보다 소프트웨어만을 교체함으로써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
|
|||||||||||||||||||||||||||||
7. 디지털보청기의 장점 |
|||||||||||||||||||||||||||||
◇ 작은 소비전력 ◇ 낮은 회로잡음 ◇ 정확한 출력 ◇ 신호의 안정성 ◇ 프로그램의 용이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