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청기
홈 > 보청기 > 보청기란?
보청기란?
◈ 귀의 구조

 

  ◈ 보청기란?
  

 

 

 

1. 보청기(Hearing Aid)란?
  

   

보청기는 소리의 성분을 주파수로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증폭시켜 주는 전기음향장치로서 난청인이 청력손실로 듣지 못하는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청각보조장치입니다. 보청기는 전음성난청의 경우 가장 효과적이며, 감각신경성 난청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보청기 외에 인공중이 이식수술, 내이의 달팽이관(인공와우) 이식수술이 있으며 청신경에 이상이 있는 경우 바로 뇌간을 자극해 주는 뇌간이식수술 등이 있습니다.

 

 

2. 보청기의 구성요소
  

   

① 마이크 (Microphone)
    - 귀에 전달되는 소리를
       전기적신호로 전환

② 증폭기 (Amplifier)
    - 전기적신호를 증폭

③ 스피커 (Receiver)
    - 증폭된 전기적신호를
       다시 소리로 전환

④ 밧데리 (Battery)
    - 전원공급장치

 

 

3. 보청기의 형태
 

   

① 보청기 제품 선택시 고려사항

◇ 난청정도 : 현재 청력상태에 맞는 보청기를 선택

난청유형 :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혼합성난청에 따른 보청기 선택

난청형태 : 각 주파수별 청력역치의 유형에 따른 보청기 선택

어음변별력 : 현재의 어음에 대한 변별력 검사를 통한 보청기 선택

착용환경 : 라이프스타일 이나 착용 환경에 따른 다양한 기능의 보청기 선택

연령 : 연령에 따른 보청기 작동 및 관리에 유용한 보청기 선택

 

② 보청기 형태 선택시 고려사항

보청기는 크게 귓속형과 귀걸이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귀속형은 난청인의 귀에 맞도록 귀본을 채취하여 제작하고, 귀걸이형은 표준형태로 제작됩니다.

보청기의 Size를 선택에 있어서 청력상태가 중요한 이유는 각 형태별로 소리를 증폭할 수 있는 한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청력이 많이 떨어지는 심도/고도 난청인은 출력을 고려하여 보청기 Size가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의 청력에 비해 출력이 낮은 보청기를 사용하게 된다면 원하는 소리 크기를 듣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난청인이 사회생활을 많이 하거나 운동량이 많은 젊은 경우에는 가급적 눈에 띄지 않는 적은 형태를 착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반면 연세가 많으신 경우  보청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착용, 관리, 배터리 교환 등을 하는데는 세밀한 손동작이 요구되므로 손동작이 얼마나 잘 되는 지를 확인하여 편한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기존에 보청기를 착용하였으나 울림현상이나 착용감이 안 좋아서 보청기 착용에 실패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오픈형 보청기(RIC)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픈형 보청기(RIC)는 귀속형 처럼 외도를 밀폐하지 않기 때문에 울림현상이 없고, 착용감이 편하며, 아주 가느다란 튜브를 외이도에 삽입하기 때문에 눈에 잘 보이지 않습니다.

 

③ 보청기 형태

구  분

착용모양

특  징





고막형
I  I C

Invisible In the Canal

출력이 낮음
외관상 눈에 보이지 않음.
미용적 효과가 가장 큼
사회생활을 많이 하는 경우 유리함

외이도형
C I C

Completetly In the Canal

출력이 작음
외관상 눈에 잘 보이지 않음.
미용적 효과가 큼

귓속형
I T C

In The Canal

외이도형과 귀바퀴형 단점을 보완한 중간 형태

귓바퀴형
I T E

In The Ear

다양한 조절기능과 큰 출력이 가능함
심도/고도 난청자에게 유리함
외관상 노출이 심함
사회생활을 많이 하는 경우 불리함





귀걸이형
B T E

Behind The Ear

출력이 가장 큼
고도/심도 난청인에게 유리함
땀에 취약함, 안경착용자에게 불리함
외관상 약간 노출됨

개방형
R I C

Receiver In the Canal

출력이 가장 큼
고도/심도 난청인에게 유리함
땀에 취약함, 안경착용자에게 불리함
수신기가 외이도에 있슴
외관상 노출이 적음

※ 청력상태가  좋을수록 위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보청기의 구조

   

 

 

5. 신호처리방식에 따른 보청기의 분류
 

   

Analog 보청기
-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단순하게 일률적으로 증폭, 수동조절, 저가격
- 낮은 소리를 크게하는 비율로 똑같이 큰 소리도 증폭하게 되므로 큰 소리가 너무 크게 됨

Programmable 보청기
- 증폭 : Analog 방식, 조절 : Digital 방식
- 청력특성 및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 조절 용이

Digital 보청기
- 보청기에 들어온 음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 디지털신호처리기술(Digital signal processing)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함
- 난청인이 원음에 가깝게 들을 수 있도록 신호를 키움
- 디지털데이터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하여 들려줌
- 음질향상을 위한 특수기능 포함

 

 

6. 디지털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란 무엇인가?
 

   

빛, 소리, 영상 등은 연속신호로 나타낼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 입니다. 그러나 아날로그신호는 외부노이즈,  처리속도, 대역폭 제한 등 아날로그 회로를 이용해 신호처리를 하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기술입니다.

DSP와 범용CPU와의 근본적인 차이는 DSP는 실시간에서 변화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타로 변환하여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범용 CPU도 이같은 신호처리를 할 수는 있지만 CPU자체에 상당한 부하가 걸리게 됩니다. DSP를 보통의 CPU와 함께 사용하는 시스템의 장점은 CPU 에는 대단히 큰 부담이 될 만한 신호처리 연산을 CPU작업의 수행과 별도로 DSP를 통해서 동시에 처리해 줄 수 있습니다.

디지털신호처리가 아날로그신호처리에 비해 정확하면서도 신호의 왜곡이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수식을 쉽게 프로그램화 할 수 있고, 새롭고 더 복잡한 신호처리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기존 아날로그 회로로는 구현이 쉽지 않은 복잡한 필터를 일련의 수식으로 쉽게 구현할 수도 있으며 특정데이터 삭제나 추가 등의 신호조작도 가능하게 됩니다. DSP를 사용하는 이점은 무엇보다 소프트웨어만을 교체함으로써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

 

 

7. 디지털보청기의 장점
 

   

 작은 소비전력
     - 집적기술의 발달로 보청기 소형화 가능함
     - 건전지 사용기간 늘어남

 낮은 회로잡음
     - 아날로그신호처리에 비해 정확하면서도 신호의 왜곡이나 손실을 방지 가능함

 정확한 출력
     - 수식을 쉽게 전산화할 수 있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가능해짐
     - 새롭고 더 복잡한 신호처리가 가능함

 신호의 안정성
     - 아날로그 회로는 온도, 습도 등으로 신호처리 과정에 영향을 받을수 있음
     - 디지털 신호처리는 외부 환경에 매우 안정적임

 프로그램의 용이성
     -
기존 아날로그 회로로는 불가능한 필터를 수식 프로그램 수정을 통하여 손쉽게 구현할 수 있음

 

  
     

 

 

 

Sub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