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과이명
홈 > 난청과 이명 > 난청의 유형Ⅰ
난청의 유형Ⅰ
◈ 귀의 구조

 

  ◈ 난청의 유형 Ⅰ
  

 

 

 

※ 청각경로 상 난청발생 위치와 난청발생 원인을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청각경로 상 난청 발생위치에 따른 유형 Ⅰ

 

   

⑴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혼합형 난청

 

 
 

2. 난청 발생원인에 따른 유형 Ⅱ

 

   

소음성 난청

돌발성 난청

노인성 난청

⑺ 유소아 난청

⑻ 이독성 난청

     

 

 

     

 

 

▣ 유형Ⅰ (청각경로 상 난청 발생위치)

 

   

⑴ 전음성 난청 (conductive hearing loss)

전음성 난청은 청각경로 중 외이나 중이의 문제로 인하여 소리의 전달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로 골도 청력은 정상이나, 기도 청력이 낮은 결과가 나타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외이도 귀지 막힘, 고막 천공, 외이도 염증, 중이 염증, 이소골의 이탈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 약물 치료나 수술로 회복이 가능하며, 보청기 사용시 청력개선이 매우 효과적 입니다.

 

감각신경성 난청 (sensory neural hearing loss)

소리가 중이까지는 정상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내이의 달팽이관이나 청신경 등에 장애가 있는 유형으로 기도청력과 골도청력의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특히 달팽이관의 유모세포에 이상이 생겨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을 하지 못하는 경우 감각성난청이라 하고, 달팽이관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한 신호를 뇌로 전달하는 청신경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신경성난청이라 합니다. 감각신경성난청의 발병 원인에 따라 선천성 난청, 노인성 난청, 소음성 난청,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혼합형 난청 (mixed hearing loss)

소리를 전달하는 외이나 중이에도 이상이 있을 뿐 아니라 감각기관에도 이상이 있는 경우로, 난청이 있는데 일시적으로 중이에 이상이 생겼거나, 만성중이염 상태가 악화되어 내이에까지 이상이 생긴 경우 혼합성 난청이라 합니다.

 

     
     

 

SubMenu